
부천역 주변 삼각대 방송, 언제부터 이렇게 많아졌을까?
부천 BJ 문화의 확산,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될까?
“부천은 왜 BJ들이 난무할까?”라는 질문은 최근 몇 년간 부천 지역, 특히 부천역 인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들(BJ, 유튜버, 틱톡커 등)의 현상을 관찰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단순한 지역적 특이성이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인프라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입니다. 아래에서 하나씩 분석해드리겠습니다.
1. 부천에 BJ들이 많은 이유

부천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비와 상권 임대료, 다양한 유흥 상권과 상점가가 밀집된 도시입니다. 특히 부천역과 부천 북부역 지하상가, 심곡천 근처는 유동 인구가 많아 노출 효과와 실시간 반응을 기대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져 있습니다.


부천은 오래전부터 코스프레, 만화, 웹툰, 게임, 문화콘텐츠 중심지로 알려져 있어 젊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활동 거점으로 점점 각광을 받았습니다. 1인 방송 장비를 들고 나와도 시선이 비교적 관대하다는 지역 분위기 또한 한몫하고 있습니다.
2. 언제부터 이렇게 많아졌을까?


2019년~2020년경부터 틱톡, 유튜브 쇼츠, 아프리카TV IRL 방송(실외 방송) 트렌드가 점점 활성화되면서, 2021년 무렵부터 부천역 인근에 삼각대와 스마트폰을 든 사람들이 눈에 띄게 늘어났습니다. 팬데믹 이후 비대면 소통이 일반화되면서 IRL 콘텐츠 소비가 폭증한 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포장마차 브이로그’, ‘길거리 댄스 콘텐츠’, ‘데이트 콘텐츠’, ‘노래 및 버스킹 방송’ 등은 부천의 분위기와 잘 맞았고, 해당 지역이 일종의 ‘핫플’로 부상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3. 저렇게 활동하면 정말 수입이 나올까?
당연히 모두가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플랫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 수익 방식 |
---|---|
아프리카TV, 팝콘TV 등 | 별풍선, 후원금, 구독자 수에 따른 수익 |
유튜브, 틱톡 | 광고 수익 (조회수 기반), 슈퍼챗, 브랜드 제휴 |
인스타그램, 쇼핑연계 플랫폼 | PPL, 제품 협찬, 라이브커머스 연계 |
단순 거리 콘텐츠로도 수익을 내는 사람은 전문성과 차별화가 있는 경우입니다. 인기 BJ의 경우, 한 방송으로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의 후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반면, 대다수의 BJ는 무보수에 가까운 방송을 지속하거나, 콘텐츠 실패 후 떠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4. ‘부천 전깃줄’의 의미는?

‘부천 전깃줄’이란 말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래한 비유적 표현으로, 부천역 주변에 삼각대와 스마트폰을 달고 방송하는 BJ들이 너무 많아서 전봇대 전깃줄처럼 얽혀 있다는 조롱 섞인 표현입니다.
주로 비판적인 시선에서 쓰이는 표현이며, “누가 누구 방송인지도 모르겠다”, “수십 명이 길거리에서 동시에 방송 중이다”는 과장된 묘사로 SNS와 커뮤니티에서 퍼졌습니다. 이 표현이 대중화되면서 ‘부천 = BJ 밀집지역’이라는 인식이 더 강화되었습니다.
마무리
결국 부천은 입지적 특성과 자유로운 분위기, 다양한 상권, 콘텐츠 수요가 맞물려 BJ, 크리에이터 활동이 자연스럽게 성장한 공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천 전깃줄’이라는 자조적 표현이 나올 정도로 포화 상태에 가까운 현실이지만, 여전히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와 차별화된 기획력만 있다면 수익 창출 가능성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경쟁도 치열하고,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방송도 많아 지역 이미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