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스를 보면 여성 소방관과 경찰관의 비율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얼핏 들으면 “아, 이제 성평등이 실현되고 있구나” 싶겠지만,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 상황을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
왜냐고요?
지금 대한민국의 재난과 치안 현장에서 벌어지는 문제들을 보면, 그저 이상적인 숫자 맞추기에 급급한 정책의 부작용이 너무나 뻔히 보이기 때문입니다.
체력 검정 기준, 이게 말이 됩니까?
소방관이나 경찰관이라는 직업은 체력이 생명입니다.
화재 현장에서 20kg 이상의 장비를 메고 불길 속으로 뛰어들어야 하고, 범죄자를 제압하려면 힘과 순발력이 필수입니다.
그런데 여성 지원자들에게는 체력 검정 기준을 낮춰주고 있습니다.
남성 지원자에겐 “죽도록 훈련해서 기준을 맞춰라” 하면서, 여성 지원자에겐 “괜찮아, 너희는 이 정도만 해도 돼”라고 하는 겁니다.
이런 기준으로 뽑힌 사람들이 현장에서 똑같은 일을 해야 한다니, 이게 공정합니까?
국민의 생명을 책임져야 할 직업에서조차 이런 식으로 차등을 두는 게 정말 이해가 안 됩니다.
여성 소방관이나 경찰관들이 현장에 투입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체력적인 한계로 인해 주요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보조 역할로 밀려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재 진압 현장에서는 물 호스를 제대로 잡지 못하거나, 환자를 들것에 올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경찰도 마찬가지입니다.
범죄자를 제압해야 할 상황에서 힘이 부족해 남성 동료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결국 남성 대원들의 부담만 늘어나고, 전체적인 효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여성 인력이 증가하면서 조직 내 갈등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남성 중심으로 돌아가던 조직 문화 속에서 여성 대원들이 적응하기 어려워하거나, 오히려 남성 대원들이 “왜 우리가 더 많은 일을 떠안아야 하느냐”고 불만을 터뜨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게다가 여성 대원들은 주로 행정직이나 내근직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아 승진 기회에서도 불리함을 겪습니다.
이렇게 되면 성평등이라는 명목 아래 또 다른 불평등이 만들어지는 셈입니다.
여성 대원이 늘어나면 그에 맞는 시설도 필요합니다.
별도의 숙소, 샤워실, 화장실 같은 기본적인 시설부터 시작해서 모든 것이 추가 비용으로 이어집니다.
그런데 이런 문제를 해결할 예산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결국 현장에서는 여성 대원들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거나, 남성 대원들과 함께 사용하는 비효율적인 환경이 유지됩니다.
이게 과연 누구를 위한 변화인지 묻고 싶습니다.
여기에 더해, 여성 소방관이나 경찰관들에 대한 대중의 시선도 곱지 않습니다.
2019년 대림동 사건 이후로 여성 경찰관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확산되었고, 여성 소방관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여성 소방관이 줄어야 한다”는 식의 조롱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성 대원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을까요?
성평등이라는 명목 아래 숫자 맞추기에 급급한 정책이 문제를 키우고 있다는 겁니다.
물론 여성들도 소방관이나 경찰관이 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공정성과 효율성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지금처럼 체력 기준을 낮추고, 현장에서 비효율을 감수하면서까지 숫자를 늘리는 방식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직업에서조차 이런 식으로 형평성을 무시해도 되는 겁니까?
성평등은 중요하지만, 그것이 국민의 안전보다 우선시될 수는 없습니다. 이제는 정말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숫자가 아니라 능력으로 평가받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