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M과 조회수로 수익 극대화하기

구글 애드센스는 2024년 초부터 광고 수익 지불 방식을 기존의 클릭당 비용(CPC)에서 노출당 비용(CPM)으로 전환했습니다.

이 변화로 인해 이전처럼 고단가 키워드로 잭팟을 터뜨리는 재미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RPM을 높여 적은 페이지뷰로도 고수익을 내는 사용자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모든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닙니다.

특히, 저와 같은 경우에는 고단가 키워드 전략이 잘 통하지 않아 조회수를 기반으로 수익을 올리는 방법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RPM과 조회수의 관계

RPM(Revenue Per Mille)은 1,000회 조회수당 발생하는 예상 수익을 의미합니다.

제가 몇 개월간 블로그를 운영하며 살펴보았는데, 평균 RPM은 약 $1.8~$2.7 정도로 나타났습니다.

RPM이 이정도로 나오니 조회수 1,000당 평균 $2.5로 수익이 발생 하더군요.1

이를 바탕으로 일일 조회수에 따른 예상 수익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일 조회수예상 일 수익
1,000$2.50
2,000$5.00
3,000$7.50
5,000$12.50
10,000$25.00
20,000$50.00
30,000$75.00
50,000$125.00

위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일일 조회수가 약 30,000회에 도달하면 대략 최소한 10만 원 정도의 수익을 기대2할 수 있습니다.3

만약 블로그에 고단가 키워드 관련 포스팅이 있다면 추가적인 수익도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조회수를 올리는 방법

조회수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은 단순하지만 실행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아래는 조회수를 늘릴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결론

조회수를 기반으로 한 애드센스 수익 전략은 꾸준한 노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이슈를 선점하거나 사람들이 많이 찾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커뮤니티 구축이나 특화된 콘텐츠 제작이 더 안정적인 트래픽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록 쉽지 않은 길이지만 끈기 있게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Footnotes

  1. 꼭 이렇게 나온다는게 아니라 평균적으로 수익이 계산이 되었습니다.
  2. 일당 수익을 기대하는 분들이 많고, 70달러는 10만원 이상되는 금액이지만 환율이 낮아지는 것을 생각하면 최소 70달러로 생각하는 것이 좋음.
  3. 무엇보다도 이 계산은 최소 수치입니다. 수익이 더 나올 수가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


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