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운전마일리지를 신청해야 하는 이유?

  1. 벌점 감경으로 운전면허 유지
    • 1년간 무위반 시 10점 마일리지 적립 → 운전면허 정지 시 10일 감경 적용.
    • 예시) 30일 정지 처분 시 마일리지 사용하면 20일로 단축.
  2. 교통비 절약 효과
    • 위반 방지로 범칙금 0원 실현 가능.
    • 평균 연간 20만 원 이상의 교통위반금 절약.
  3. 안전운전 습관 형성
    • 서약 기간 중 운전자 의식 개선 → 사고 발생률 34% 감소(2024년 경찰청 통계).
  4. 신청 자격 요건 간소화
    • 운전 경력 없는 장롱면허 소지자도 가능.
    • 5분이면 끝나는 온라인 신청 절차.

신청 절차 가이드

온라인 신청(3분 컷)

  1. 교통민원24 앱 또는 정부24 접속
  2. 본인인증 후 ‘착한운전서약’ 메뉴 선택
  3. 신청서 작성 → 즉시 처리 완료

방문 신청 시 필수 서류

착한운전마일리지 온라인 신청방법

PC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모바일도 과정은 비슷하니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하여 경찰청 교통민원24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우선 로그인을 해야하는데 상단 오른쪽에 로그인 버튼이 있습니다.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면 간편인증으로 로그인을 시도하면 되겠습니다. 금융인증서나 공동인증서는 있으면 사용해도 좋지만 간편인증이 훨씬 사용하기가 편하니 원하는 플랫폼을 선택하여 인증을 시도합니다.

카카오톡이나 삼성페이 같은 아이콘 아무거나 선택합니다.

이렇게 팝업창이 뜨게 되는데 왼쪽에 민간인증서 원하는 플랫폼을 선택합니다.

카카오톡이나 네이버같은 대중적인 플랫폼을 써도 되지만, 저는 통신사PASS를 늘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사PASS를 선택하겠습니다.

오른쪽에 본인인증 정보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동의를 체크한 후 인증 요청을 하여 로그인을 시도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인증을 하는겁니다.

로그인 완료되었습니다.

상단 메뉴에 신청쪽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하위 메뉴 맨오른쪽에 착한운전마일리지신청이 있습니다.

여기서 착한운전마일리지 신청 페이지가 뜨는데 개인정보와 서약 기간을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대상자 확인 메시지 부분을 보면 무위반 무사고 서약 가능합니다. 신청 버튼을 클릭하세요. 메시지가 있습니다.

아래의 1년의 계약 기간이 표시가 되어 있는 것과 서약자 준수사항, 성공혜택, 관련근거 내용을 확인하고, 파란색 버튼으로 되어있는 신청을 눌러줍니다.

다른 별도의 과정없이 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습니다. 문구가 표시됩니다.

아래의 발행하기 버튼을 누르면 서약확인서 내용을 볼 수가 있습니다.

프린트를 하거나 PDF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이로서 착한운전마일리지 신청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참 쉽죠?

최근단속내역 미납금이 있다면?

만약 최근에 속도위반이나 도로단속에 걸렸는데 범칙금/과태료 미납금이 있다면 신청할 수가 없습니다.

2020년 9월 25일부터 정책이 적용 되었다고 하는군요.

그렇다면 해결방법은 당연히!

단속 내역을 조회하여 미납 과태료 납부를 하여 신청할 수있는 조건으로 만들어줍니다.

은행 어플이나 과태료 고지서에 적혀있는 계좌로 입금을 하면 되는데, 과태료 납부한 당일 착한운전마일리지 신청이 바로 되지 않습니다. 곧바로 처리가 되는것이 아니라 행정 처리하는데 약 1~3일 정도 걸립니다. 그래서 대략 3일 뒤에 조회를 하여 신청 가능여부를 확인 하시면 됩니다.

납부처리 완료가 되었다면 위에 처음 절차대로 시도하여 신청 과정을 완료하시면 되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Akismet을 사용하여 스팸을 줄입니다. 댓글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세요.


Stats